@ 서예교본

제2절 실기이론

완 재 2006. 8. 7. 12:07
 

제2절 실기 이론


1) 서예란?

글씨등을 소재로 서사(書寫)하여 표현하는 조형적 선(線)예술이다.


2) 준비물

(1) 붓-붓털의 직경이 최소한 1.5 - 2.0Cm 정도의 것이 연습용으로 적합

(2) 벼루-적어도 가로 15Cm,세로 24Cm,정도는 되어야 편리함.

(3) 먹-중형

(4) 종이-연습용 화선지(신문지 등은 적절치 아니함.)

(5) 서진 (문진)

(6) 받침용 모포 (깔개)-화선지 全紙(70-140Cm)정도 크기의 것

(7) 기타, 붓발, 연적 등

 * 위의 도구들은 가급적 서예도구 전문점에서 취급하는 것이라야 경제적이고 연습효과도 높다.


3) 몸의자세

(1) 서서쓰기 - 처음에는 적응하기 어려우나 필력을 기르는데 가장 좋은 자세이며 몸이 부드럽고 시야를 넓게 확보할 수 있어 큰 글자, 큰 작품제작에 적절하다.

(2) 앉아쓰기 - 책상과 의자를 사용하므로 피로가 덜하고 선의 질도 의도대로 쉽게 되나 시야의 한계가 있어 결국 서서쓰기를 다시 익히지 않으면 큰 작품을 제작치 못하는 흠이 있다.

(3) 바닥에서 쓰기 - 방바닥에게 쓰는 방법이며 활동이 부자유스러워 피로가 빠르므로 차츰 사라져가고 있는 자세이다.


4) 팔의 자세

(1) 현완(懸腕)법

 팔을 들고 쓰는 방법으로서 큰 글자 쓰기에 적합하다.

(2) 제완(提腕)법

 팔꿈치만 책상에  살짝 대고 쓰는 방법이며 중자 (中字) 쓰기에 적절하다.

(3) 침완(枕腕)법

 왼쪽 손등을 벼개삼아 오른쪽 팔목이나 팔뚝을 대고 쓰는 방법이며 소자(小字) 쓰기에 적절하다.


5) 손가락의 자세 (執筆法)

(1) 단구(單鉤)법

 연필 잡듯이 2번 손가락이 밖으로 나오도록 붓을 잡는 방법.

(2) 쌍구(雙鉤)법

 2번, 3번 손가락이 밖으로 나오도록 붓을 잡는 방법. 이때 두 손가락은 안으로 당기고 4번, 5번 손가락은 밖으로 밀고 엄지손가락은 붓을 고정시키는 역활을 하되 힘이 각 손가락  끝에 고루 전달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를 오지제력(五脂齊力)이라 한다.

(3) 기타

 오지법(五脂法), 악필(握筆)법 등이 있으나 특수한 경우에 속한다.


6) 용어설명

(1) 운필법(運筆法)

 획을 긋거나 점을 찍는 방법을 운필법이라 하는데 점, 획을 이루는데 필요한 모든 수단을 총체적으로 일러 말한다. 또한 시작하는 첫 부분을 기필(起筆), 허리부분을 송필(送筆), 또는 행필(行筆), 맺는 부분을 수필 (收筆), 또는 회봉(廻鋒)이라 한다

(2) 용필법(用筆法)

 운필 법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나 운필 법에 대한 세부 개념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는 등 학자에 따라 정의하는 바가 다르다

(3) 역입(逆入)

 획을 긋기 시작할 때 획이 진행될 반대 방향으로 먼저 붓끝을 거슬러 들어 가도록 하는 행위. 한자 서예의 해서를 쓸 때 많이 적용된다.

(4) 순입(順入)

 역입을 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붓을 놓아 획을 긋는 행위. 한글궁체 또는  한자의 행서 등에 많이 적용된다.

(3) 장봉(藏鋒)

 역입을 하므로서 붓끝이 접혀 감추어진 상태.

(4) 노봉(露鋒)

 순입이 되어 붓끝이 노출되도록 한 상태.

(5) 중봉(中鋒)

 획의 진행 방향과 붓 결이 일치 하므로서 붓끝이 획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하는 방법. 중봉을 유지하는 것은 붓글씨에서 가장 중요한 법칙의 하나이며 이 방법에 충실해야 힘 있고 기운 가득 찬 획을 그을 수 있다.

(6) 편봉(偏鋒)

 중봉이 되지 않은 상태, 즉 획의 한쪽 가장자리로 붓끝

이 쏠려있는 경우이며 측봉(側鋒)이라고도 한다. 획이 충실 해지지 않으므로 초학자는 극히 조심해야하나 중봉에 익숙해진 다음에는 작품 제작에 다소 활용되기도 하는 용필 법이다.

(7) 평출(平出)

 획의 마지막 부분에서 획이 진행되던 방향으로 내쳐 뽑듯 붓을 거두는 방법.

(8) 역출(逆出)

 획의 마지막 부분에서 획이 진행되던 반대방향으로 붓을 거두는 방법

(9) 전절(轉折)법

 획이  일정한 방향으로 진행하다가 둥글게 또는 각 지게 방향 을 바꾸어야할 필요를 느낀다. 이때 轉法(굴리기)이란 획이 둥글게 되도록 하면서 방향을 바꾸는 것을 말하며 折法(꺽기)이란 획이 각지게 되도록 방향을 전환함을 말한다.

(10) 삼절(三折)법

 획을 한번 긋는데 3회 정도의 꺽임이 있어야 한다는 법칙으로 획에 힘을 실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또한 기필, 송필, 수필의 각 부분에서 일어나는 3회의 절법, 즉 일과삼절(一過三折)을 의미한다는 설도 있다

(11) 일파삼절(一波三折)

일파삼절(一波三折)이란 붓을 사용하는 한 방법이다. 파(波)는 서법에서 파임을 말하며 절(折)은 필봉(筆鋒)의 방향을 전환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필법의 생동감과 변화를 주구하는 것을 말한다.

서법 중에서도 이 일파삼절은 중요한 과제로 강조되어 왔다. 송익(宋翼)이 글씨를 배울 때 점과 획이 판에 박은듯하여 생기가 없자 그 의 삼촌인 종요(鐘繇)가 이것을 엄격하게 비판하였다. 후에 송익은 마음을 가라앉히고 이러한 잘못을 고쳐 매번 파임을 할 때마다 일파삼절로 획을 표현하였고, 하나의 점을 찍을 때마다 필봉을 감추어 나아가 마침내 성취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초학자들은 점과 획을 할 때에는 변화와 생동감이 나도록 일파삼절의 법칙을 준수하여야 한다.

만약 가로획을 그을 때 그대로 나아가기만 하여 돌아오지 않고, 세로획을 물을 내뿜듯이 죽 내려 긋기만 하고 ,파임을 멈춤이 없이 그대로 획을 뺀다면 글씨는 판에 박은 듯하여 생동감이 없게 된다. 점과 획을 나타낼 때에는 곧은 것도 있고 굽은 것도 있어 정신과 풍채가 날고 움직이는 듯해야 한다. 이때 주의할 점은 붓을 움직임에 빠르고 천천히 하고, 굽거나 곧게 하고, 필봉을 감추거나 나타나게 하고, 누르고 멈추고 꺾고 둥글게 하여야 하고, 가볍게 혹은 무겁게 하여 다양한 변화를 주어야만 행동감이 나타나게 된다.


7) 落款

(1) 작품에 낙관 하는법

 모든 사물을 마음의 깊은 눈으로 보아야 하고, 그 깊은 눈에 따라 손이 따라가야 될 것이다. 어떻게 하면 전각으로 인하여 작품을 돋보이게 할 수 있을까?

 다시 말하면 적당한 위치를 찾아 찍는 것도 인격(印格)을 높이게 되는 것이 된다.

  서예작품에서는 본문을 다 쓰고 난 말미가 아니면 행을 달리하여 작가가 표시하고자 하는 곳에 낙관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장은 이름자나 아호 밑에 음각된 백문의 성명 인을 먼저 찍는다. 그 다음에 양각된 주문(朱文)의 아호 인을 그 아래에다 찍는 것이 상례이다. 물론 이러한 朱 .白의 순서는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는 않으나 겸손의 뜻으로 이름 도장을 먼저 찍고, 나중에 雅號印이나 자인(字印) 및 堂號印을 찍는다.

  그렇다고 해서 이 두 개의 도장을 다 찍을 필요는 없다. 때에 따라서는 성명인이나 아호인, 아니면 수결인(手決印), 또는 字印을 하나만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럴 때는 작품의 크기가 쓰여진 모양새에 따라 주문, 백문의 도장을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간혹 유인(遊印)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는 작품상 비어있는 공간에 적당한 의미의 도장을 朱白에 관계없이 작가의 판단에 의해 찍게 된다. 많은 이들이 이런 경우를 여백 처리라고 하지만, 그렇지가 않다. 여백이란 남은 자리일 뿐 다른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만약 남은 자리에 도장을 찍는 것이라면 필요 없이 동원되는 도장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작품의 구성상 계획하여 얻는 장소이지 여백처리가 아니다.

  최근에는 전각 그 자체를 감상적 차원의 예술품으로 새기는 경우도 많아졌다. 이는 실용성에 바탕을 둔 전각의 본래 목적과는 상반되는 것인데, 전각을 방촌(方寸)의 세계에서 탈피하여 하나의 작품으로 대접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표현이라 생각한다. 이럴 경우 작품을 하고 난 후 글씨를 곁 들이는데 전각 작품에 쓰여진 글씨 또한 격이 높아야 한다. 모처럼 애써 만든 전각 작품이 부연 설명으로 곁들인 문장에서 훌륭한 서사(書寫)가 되지 않는 다면 그만큼 전각 작품의 질도 동시에 격하되는 것이다.   예술은 기법이나 지식만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기법과 지식만의 예술이라면 초기 단계에서는 다소 빛을 볼 수 있을지 모르지만 결국에 가서는 큰 발전 없이 양적 확대만 이루어질 것이다.


(2) 서예작품의 표기

◎ 낙관과 서예작품의 표기에 대하여

 0 낙관이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낙관이란 낙성관지(落成款識)를 줄인말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린 뒤 작자가 직접 그 작품에 년월(年月), 성명(姓名), 시구(詩句), 발어(跋語)를 쓰든가 성명(姓名)이나 아호(雅號)를 쓰고 인장을 찍는 전체를 의미한다. 낙관은 제관(題款)이라고도 하는데 서예작품 전체의 중요한 유기적 구성성분이다. 그것은 전체화면을 안정시키거나 분위기를 돋구기도 하고, 작품의 주제를 부각시키거나 예술적 의경을 조성하여 더욱 풍부한 정취를 갖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서화작품에서 낙관은 전체구도를 고려해서 신중하게 하여야 한다. 낙관은 상관(上款)과 하관(下款)으로 나누거나 장관(長款)과 단관(短款)으로 나누기도 한다. 상관은 시(詩)의 명칭이나 작품을 받을 사람의 성과 이름을 기록하고, 하관은 글씨를 쓴 사람의 성명, 년월, 글씨를 쓴 장소 등을 기술한다. 특정인에게 작품을 주지 않을 때 일반적으로 상관은 생략하고 하관만 하는데, 이것을 단관(單款)이라고도 한다. 또한 화면의 구도상 여백이 많아서 전체화면을 채우고 빈자리를 보충하기 위해서 본문과 관계있는 문장을 길게 덧붙이고 성명, 아호 등을 적어 글자수가 많아지게 하는 형식을 장관이라고 하고, 이와 반대로 화면 구도상 아호와 성명을 적고 인장을 찍을 공간만 있어서 글자수가 적어지게 하는 형식을 단관이라고 한다. 고대 시기에는 서화작품에 낙관을 하지 않았다. 송, 원대를 지나면서 조금씩 낙관을 하게 되었고, 명, 청대에 접어들면서 거의 제도화되어 작품제작의 필수적인 과정이 되었다.

 그리고 서화작품에서 낙관은 작가 스스로 자신의 작품에 대한 완성의 표시이기도 하고, 후세에 한 작가의 작품이 진적인지 위작인지를 가리는 귀중한 열쇠가 되기도 한다. 그래서 작가는 낙관을 할 때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항을 주의해야 한다. 첫째, 본문보다 낙관글씨는 작아야 한다. 왼쪽 모서리에 본문보다 작으면서 조화를 이루도록 처리해야 한다. 둘째, 하관을 하는 서체는 본문과 어울려야 한다. 예컨대 전서작품은 행서낙관, 예서작품은 해서나 행서낙관, 해서작품은 해서나 행서낙관, 행서작품은 행서나 초서로 낙관할 수 있다. 행서는 서화작품에서 낙관하기에 가장 무난한 서체이다. 셋째, 낙관에는 작가의 연령이나 신분을 밝히기도 하는데 젊은 사람이 나이를 쓴다든가 ○○거사, ○○도인 등을 함부로 사용하는 것도 생각해볼 문제이다. 넷째, 윗사람이나 친구 등의 부탁으로 본문을 쓰고 낙관을 할 때는 항렬이나 선후배를 따져서 격에 맞게 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몇 가지 쌍관(雙款)한 예를 아래에서 살펴보자.

  첫째, 상대를 높이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① ○○道兄指正 ○○ 拜贈

  ○○도형께서 바로잡아 주기를 바랍니다. ○○은 절하면서 선사합니다.

※여기서 도형(道兄)은 상대를 높여서 부르는 말이고, 지정(指正)은 남에게 작품을 보낼 때 자신의 작품에 잘못된 곳이 있으니 바로 지적해 달라는 겸손의 의미가 있다.)

② ○○先生正之 ○○○題贈

  ○○선생께서는 바로잡아 주시기 바랍니다. ○○○는 제(題)하여 바칩니다

※여기서 正之는 자신의 작품이 잘못되었으니 고쳐달라는 겸사이다.

③ ○○女史雅正 ○○○畵

  ○○여사께서는 바로잡아 주시기 바랍니다. ○○○이 그렸습니다.

※여기서 아정(雅正)은 지정(指正)과 같은 의미로 자신의 작품 중에 잘못된 부분을 고쳐달라는 겸사이다.

④ ○○吾兄七十壽書(畵)此以祝

 ○○형의 칩십세 수연(壽筵)에 이를 써서(그려서) 축하합니다.

⑤ 辛巳初冬寫(書)呈○○○博士(將軍, 社長)敎正 ○○○ 敬獻

 신사년 초겨울에 ○○○박사(장군, 사장)께 그려서(써서) 드리니 잘못된 곳을 바로 가르쳐 주십시오, ○○○는 삼가 바칩니다.

 둘째, 상대와 신분이 비슷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① 辛巳秋爲○○作 ○○○書(寫)

 신사년 중추에 ○○을 위하여 제작하였다. ○○○쓰다(그리다).

② 辛巳晩秋○○仁兄(大雅)之屬 ○○○書(畵)

 신사년 늦가을에 ○○仁兄(大兄)의 부탁으로 ○○○이 씁니다.<그립니다>.

※여기서 인형(仁兄)은 친구끼리 상대편을 대접하여 부르는 말이고, 대아(大雅)는 평교간(平交間)에서나 문인(文人)에 대하여 존경한다는 뜻으로 상대자의 이름 밑에 쓰는 말이다.)

③ ○○仁兄大人雅屬卽正 ○○○

 ○○인형(仁兄)의 부친의 부탁으로 제작하였으니 고쳐주시기 바랍니다. ○○○)


 셋째, 특별한 신분일 때 혹은 익살스럽게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


① ○○法家 指正 ○○○ 敬寫

 스님께서는 보시고 바로 고쳐 주십시오. ○○○이 삼가 그렸습니다.

※여기서 법가(法家)는 승려를 높여서 한 말이다.

② ○○道友補壁 ○○○塗鴉

 도형(道兄)의 벽을 보충하십시오. ○○○이 먹으로 그렸습니다.

※여기서 보벽(補壁)은 서화를 벽에 걸어 벽을 채운다는 뜻이니 겸사이면서도 익살스러운 말이고, 도아(塗鴉)는 종이 위에 먹을 새까맣게 칠하였다는 뜻이니 곧 글씨가 서툴다는 겸사이다.


 이와 같이 낙관은 본문을 효과적으로 드러내주기 위하여 구도나 장법상 전체 화면에 어울리게 하여야 한다. 쌍관이든 단관이든 인장의 날인까지 마쳐서 낙관이 마무리 되면 본문과 어울려 서화작품의 격조를 높이는 열할을 할 것이다. 따라서 인장자체를 낙관이라고 하거나 낙관이 삐뚤게 새겨졌다는 말은 고쳐져야 할 것이다. 지도자들은 용어사용에 신중을 기해야 된다고 본다.


 다른 하나의 문제는 그 전시장에 비치된 도록을 보면서 생각한 것이다. 일상적으로 서예계에서 통용되는 작품집을 보면 그 작품에 대한 정보를 표기할 때 각양각색으로 작가마다 차이가 있다. 이번 기회에 국제적으로 미술품을 표기할 때 어떻게 하는지에 대하여 소개하고 서단의 작품표기가 통일 내지는 표준화되기를 기대하는 바램에서 이 문제를 제기한다.

 서예작품의 표기에서 가장 오류가 많은 것은 작품크기를 알리는 높이(세로)×너비(가로)㎝를 바꾸어서 대부분 너비(가로)×높이(세로)로 기록하고 있는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미술작품의 도판에는 그 작품에 관한 정보를 정해진 순서대로 도판 밑 왼쪽에서 시작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가로쓰기를 한다. 그 순서는


도판번호〔영어로는 본문 속에 오는 삽도는 Figure 또는 Fig.로쓰고 도판은 Plate 또는 Pl.로 한다〕.

②작가명, 

③작품명(영문의 경우 이탤릭체나 밑줄을 긋고 국문인 경우< >표를 한다),

④제작연대. 

⑤재료, 

⑥크기(높이는 너비보다 먼저 써준다),

⑦소장처(도시를 먼저쓰고 소장처는 다음에 쓴다). 등을 밝히는 첨가한다. 보기를 들면 다음과 같다. 


 도판 94. 이황, <書簡>, 1562. 紙本, 28.5㎝×19.5㎝ 額, 서울. 한빛문화재단 소장.


 작가가 개인전을 할 경우에도 도록에 이와 같은 표기의 원칙은 지켜져야 할 것이다. 즉 개인전 도록의 경우 작가의 성명은 알고 있기 때문에 생략이 가능하나 그 외의 사항은 순서대로 기록해야 할 것이다. 지금부터 개인전을 하는 작가는 최소한

①<작품명>, ②제작연대. ③재료, ④크기(세로×가로),

등의 순서대로 표기해 주었으면 한다. 그래야 누구든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고 국제적으로도 통용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필자가 제기한 두 가지 문제는 가볍게 볼 수 있는 점이지만 사람에 따라서는 오해의 소지가 있는 점이기도 하다. 따라서 낙관과 작품의 표기에 관한 문제는 작품을 더욱 빛나게 하는 중요가 문제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 庚辰初冬祝00學長古稀之慶玩齋書

   경진년 초겨울 00학장의 경사스러운 고희를 축하하며 완재 쓰다.

●, 祝00博士學位授與應囑松友會玩齋書

    00박사 학위수여를 축하하기 위해 송우회의 부탁을 들어 완재쓰다.

●, 庚辰初秋書祝00藥局發展之禧

   00약국 발전의 경사를 축하 하며 경진년 초가을 쓰다.

●, 00女史雅囑玩齋卽席撫毫時庚辰之冬

   00여사의 겸손한 부탁을 들어 완재 즉석에서 붓을 날리다.

   때는경진년초겨울

●, 乙亥端陽(端午)爲00仁兄大人(親友)玩齋撫毫于束草旅南

    을해년 단양(단오) 절에 00인형께 속초 남쪽 여관에서 완재 써서 드리다.

●, 祝00女史六一壽辰

    00여사의 61수를 축하하다.

●, 乙亥00仁兄要卽席揮毫不得固辭隨受亂筆看者恕之

    을해년 00인형 의 요구로 즉석에서 법규도 없이 손이 가는 데로 어지럽게           썼으니 보는 사람은 용서 하십시오.

●, 書杜詩國譯幷錄原原詩

    이글은 두보의 시를 국어로 번역하여 병풍으로 기록했다.

●, 時乙亥之冬書於秋史筆意無我室

   때는 을해겨울 추사선생 글씨의 뜻을 담고 무아실(내가 없는곳)에서 쓰다.

●, 乙亥載陽(二月)書於土壤里私第一隅春蘭淸香滿室處

   을해 제양(2월)토양리 사택 제일 조용한 춘란 향기가 가득한 곳에서 쓰다.

●, 李先生囑餘筆贈金博士

   이 선생 부탁으로 한가하여 김박사께 써 드리다.

●, 乙亥榴夏(五月)節書祝00博士華甲之慶玩齋

   을해 유하(오월)절 00박사의 회갑의 경사를 축하하며 완재 쓰다.

●, 00君00孃華燭盛典書於春蘭淸香滿室處玩齋

   00군 00양 화촉성전에 춘란의 맑은 향이 가득한 곳에서 완재 쓰다.

●, 庚辰年殘暑之節書於秋史筆意無我室玩齋

    경진년 더위가 남아있는 계절에 추사글씨의 뜻으로 무아실에서 완재쓰다.

●, 庚辰年梅雨之節書於土壤里私第一隅春蘭淸香滿室處玩齋

   경진년 매우(5-6월)절에 토양리 사택 조용한 춘란의 향이 맑은 곳에서 완재쓰다

●, 爲00先生惠存庚辰年殘暑之節00仁兄要卽席揮毫不得固辭 隨受亂筆看者恕之

    00선생께 드리다. 경진년 더위가 남아있는 계절에 00인형의 요청으로 즉석에서 휘호 하여 법규도 없이 손가는 데로 썼으니 보는 자는 용서하라.


'@ 서예교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예 교육의 가치  (0) 2006.08.07
낙관  (0) 2006.08.07
제2장 제1절 서체 학습의 순서  (0) 2006.08.07
제4절 서예란 무엇인가  (0) 2006.08.07
제 3절 서품  (0) 2006.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