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서 동영상

三旬九食 삼순구식

완 재 2024. 2. 26. 13:00

 

三旬九食 삼순구식

(두 이)

(열흘 순)

(아홉 구)

(밥 식)

 

한 달에 아홉 끼니 밖에 먹지 못한다.

집이 몹시 가난한 것.

 

上漏下濕(상루하습) : 위에서는 비가 새고 아래에서는 습기가 차오른다는 뜻으로

가난한 집을 비유하는 말.

 

이순구식(二旬九食)

 

도연명(陶淵明) '의고시(擬古詩)'

 

'동방에 한 선비가 있으니 옷차림이 항상 남루하였고/

한달에 아홉끼가 고작이요 /

십년이 지나도록 관직하나로 지내더라/

고생이 이에 비할 데 없건만 언제나 좋은 얼굴로 있더라 /

내 그 분을 보고자 하여 이른 아침에 하관(河關)을 넘어 갔더니/

푸른 소나무는 길옆에 울창하고 흰 구름은 처마 끝에 잠들더라/

내 일부러 온 뜻을 알고 거문고 줄을 골라 연주하니/

높은 음은 별학조(別鶴操:남편과 이별한 아내의 슬픈 노래) 놀란 듯한 가락이고,

낮은 소리는 고란(孤鸞:배우자가 없음을 슬퍼하는 노래)이 아닌가/

이제부터 그대 곁에서 늙을 때까지 살고 싶네'

 

東方有一士被服常不完三旬九遇食동방유일사피복상불완삼순구우식

十年著一冠십년저일관

辛勤無此比常有好容顔신근무차비상유호용안

我欲觀其人晨去越河關아욕관기인신거월하관

靑松夾路生白雲宿檐端청송협로생백운숙첨단

知我故來意取琴爲我彈지아고래의취금위아탄

上絃驚別鶴상현경별학

下絃操孤鸞하현조고란

願留就君住從令至歲寒원류취군주종령지세한

 

[예문]

가난이야, 가난이야, 원수년의 가난이야. 잘살고 못살기는 묘 쓰기으 매였는가?

북두칠성님이 집자리으 떨어칠적에 명과 수복을 점지허는거나?

어떤 사람 팔자 좋아 고대광실 높은 집에 호가사로 잘사는듸,

이년의 신세는 어찌허여 밤낮으로 벌었어도 삼순구식을 헐수가 없고,

가장은 부황이 나고, 자식들은 아사지경이 되니,

이것이 모두다 웬일이냐?

차라리 내가 죽을라네.”

이렇닷이 울음을 우니 자식들도 모두 따라서 우는구나.

< 판소리 다섯마당>흥보가

 

 

 

 

'@ 행서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節用愛人 절용애인  (101) 2024.03.24
刎頸之交 문경지교  (94) 2024.03.10
三顧草廬 삼고초려  (59) 2024.02.13
伯仲之勢 백중지세  (44) 2024.01.30
惜吝成屎 석인성시  (39) 2024.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