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목계지덕(木鷄之德) - <장자>
木(나무 목)
鷄(닭 계)
之(갈 지)
德(덕 덕)
- 최고의 싸움 닭은 목계 -
주위에서 아무리 난리를 쳐도 목계지덕(木鷄之德)을 지녔다고 말한다.
望之似木鷄, 其德全 망지사목계, 기덕전
"보기에 흡사 나무로 만든 닭과 같으니 그 덕이 완전하구나!" 이 이야기는 장자의 달생편(達生篇)에 나온다
기원전 8세기 중국 주나라의 선왕(宣王)은 닭싸움을 매우 좋아했다. 그 왕은 어느날 '기성자'라는 이름의 투계 조련사에게 최고의 싸움닭을 만들어 달라고 했다.
기성자는 " 닭이 강하긴 하나 교만하여 자신이 최고인줄 안다" 며 아직 멀었다고 답했다
기성자가 대답하기를 "아직 안됩니다. 교만함은 버렸으나 상대방의 소리와 행동에 너무 쉽게 반응하기 때문에 인내심과 평정심을 길러야 할 것 같습니다." 다시 열흘뒤에 왕은 물었다 " 이제 되었느냐? 싸움에 내보낼수 있느냐 ?"
"조급함은 버렸으나 눈초리가 너무 공격적이라 눈을 보면 닭의 감정상태가 다 보입니다. 아직은 힘듭니다."
마침내 40일째가 되던날 기성자는
"이제 된 것 같습니다. 상대방이 아무리 소리를 지르고 위협해도 반응하지 않습니다. 완전히 편안함과 평정심을 찾았습니다." "다른 닭이 아무리 도전해도 혼란이 없습니다. 마치 나무로 만든 닭같이 '목계(木鷄)' 가 됬습니다. 이젠 어떤 닭이라도 바라보기만 해도 도망칠 것입니다" 라고 대답하였다는 이야기이다.
결론은 "최고의 싸움닭은 싸우지 않고 이긴다" 는 것이다.
주변에서 아무리 난리를 쳐도, 나무로 만든 닭처럼 평온하면 종국에는 이긴다는 뜻이다.
이는 손자병법의 "칼을 들고도, 휘두르지 않고 목적을 달성하는 최고의 전략" 상지상(上之上)병법과도 상통한다.
일본 스모계의 후다바야마는 79연승을 한 전설적인 스모 선수이다. 하지만 이 후다바야마가 어느날 경기에서 지고 79연승에서 멈추었을 때 스승님을 찾아가 가장 먼저한 말이 " 저는 아직 완전한 목계(木鷄)가 되지 못한것 같습니다" 라는 말이 었다고 한다.
이 "목계의 덕"은 경청(傾聽)과 함께 삼성을 창업한 고(故) 이병철 회장이 아들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에게 가르친 것으로도 유명하다. 목계지덕(木鷄之德)형 인재
목계지덕형 인재는 교만함이 없다.
주변의 오만과 편견에도 오히려 겸손을 내보인다. 그리고 자신의 감정을 통제할 줄 안다. 적의 기만에 흔들리지 않는다. 오히려 상대방이 그 위엄에 움찔함을 느끼게 한다. 이는 곧 유연함이 강하고 센것을 이긴다는 세상이치와도 다를 바 없다.
우리는 보통 이런사람을 리더(Leader)이라고 부른다. 리더는 리더다운 행동을 보여주고
[출처] 고(故) 이병철 회장의 가르침 목계지덕(木鷄之德)|작성자 GlobalCow [출처] 고(故) 이병철 회장의 가르침 목계지덕(木鷄之德)|작성자 GlobalC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