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상유지(太上有之) - [道德經제17장 : 태상(太上)]
太上下知有之, 태상하지유지
其次親而譽之, 기차친이예지
其次畏之, 기차외지
其次侮之, 기차모지
上: 지도자, 윗사람, 下: 아랫사람, 譽: 기릴 예, 칭찬할 예, 畏 두려워 할 예,
悔: 업신여길 모, 깔볼 모,
최고의 지도자는 있다는 존재만 느끼게 한다.
그 다음은 친절하여 칭찬받는 지도자다.
그 다음은 두렵게 만드는 지도자다.
그 다음은 업신여겨 깔보는 사람이다.
노자의 리더의 4등급은
‘有之’ ‘譽之’ ‘畏之’ ‘侮之’(‘유지’ ‘예지’ ‘외지’ ‘모지’)다.
춘추전국시대라는 난세에 수많은 지도자들의 말로를 지켜본 노자의 생각이다.
칭찬받던 군주가 하루아침에 버림받고,
무섭게 느껴지던 군주가 죽임을 당하고,
능력없는 군주가 끝내는 나라를 잃고 헤매는 난세의 현실을 목격한 노자의 지도자관이다.
1 가장 좋은 지도자는 아랫사람들이 그가 있다는 것을 알게만 하는 사람이고,
2 그 다음은 좋아 할 일만 하여 칭송받는 사람이고,
3 그 다음은 법대로 하여 두려워하는 사람이며,
4 그 다음이 능력 없어 업신여겨 깔보이는 사람이다.
이런 관점에서 아랫사람에게 칭송받고 환호 받는 리더는 최상의 리더가 아니다.
한 때는 칭찬과 환호를 받다가 마지막에 비난과 치욕으로 끝나는 지도자들이 천하에 가득한 요즘, 재직시 칭찬받고 산다는 것이 얼마나 덧없는 일인지를 느끼게 해 준다 위대함은 가장 평범한 것이며 믿음이 부족하면 반드시 불신이 있게 되니,
공을 이루고 일이 성취 되어도
백성들이 모두 말하기를 ‘내가 절로 그리 되었다’고 하게끔 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