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서 동영상

백년하청

완 재 2017. 9. 8. 10:04



0, 百年河淸 백년하청

일백 백.

해 년.

물 하.

맑을 청.

 

백 년을 기다린다 해도 황하(黃河)의 흐린 물은 맑아지지 않는다는 뜻.

아무리 오래 기다려도 사물(事物)이 이루어 지기 어려움의 비유.

확실하지 않은(믿을 수 없는) 일을 언제까지나 기다림(기대함)의 비유.

 

춘추 시대 중반인 주()나라 영왕(靈王) 7(B.C. 565), ()나라는 위기에 빠졌다. ()나라의 속국인 채()나라를 친 것이 화가 되어 초나라의 영윤 (令尹) 자양(子襄)도 정나라를 공격할 채비를 하게 되었다.

 

이에 정나라에서는 경대부 여섯 명이 대책을 숙의하는 회의를 열게 되었다. 회의는 진()나라에 구원병을 청하자는 측[主戰論 : 자공(子孔), 자교(), 자전 (子展)]과 초나라와 강화(講和)를 해야 한다[和親論 : 자사(子駟), 자국(子國), 자이(子耳)]는 주장이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었다.

 

이 때 대부인 자사(子駟)가 말하기를,

 

"()나라의 시()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

 

황하의 물이 맑기를 기다린다는 것은 사람 수명으로는 맞지 않다. 여러 가지를 놓고 점을 치면 그 물에 얽힌 듯 갈피를 못 잡는다.

(周詩有之曰 待河之淸 人壽幾何非云詢多 職競作羅)

 

그러니 우선 초나라와 강화를 해서 백성들을 위험에서 구하고 그 다음에 진나라를 따르는 것이 좋을것입니다."라고 했다.

 

이 말은 진나라의 구원병을 기다리는 것은 황하의 맑기를 기다리는 것과 같다는 의미로 사용한 것이다.

 

, "황하물이 맑아지기를 기다린다"는 것은 나라의 구원병이 올 것이 어긋난다는 비유로 쓴 말로, 작은 나라가 큰 나라에 대처하는 괴로운 마음이 잘 나타나 있는 이야기라 하겠다.

 

그 후 정나라는 자사(子駟)의 말대로 해서 위기를 면했다.

[] 千年一淸(천년일청) : 물이 천년에 한 번 맑아진다는 뜻.

如俟河淸(여사하청) : 물이 맑아지기를 기다리는 것과 같다.

俟河淸(사하청) : 언제나 흐리어 누런 황하의 물이 맑기를 기다린다.

[출전] 春秋左氏傳 

'@ 행서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어지교  (0) 2017.09.22
술이부작  (0) 2017.09.15
수주대토  (0) 2017.09.01
신종여시  (0) 2017.08.25
앙급지어  (0) 2017.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