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무용지용(無用之用)
無(없을 무)
用(쓸 용)
之(갈 지)
用(쓸 용)
쓸모 없는 것의 쓰임
세속적인 안목으로는 별로 쓰임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도리어 큰 쓰임이 있다는 의미
인위의 입장에서 보면 무용이지만 따져보면 참된 유용이며 무용인 것이 정녕 귀하다는 것을 뜻하며 도가들이 주장하는 것이다.
<장자(莊子)> "인간세(人間世)"편을 보면 다음과 같은 우화가 있다.
"산에 있는 나무는 사람들에게 쓰이기 때문에 잘리어 제 몸에 화를 미치고, 등불은 밝기 때문에 불타는 몸이 된다.
계수나무는 먹을 수 있기 때문에 베어지고, 옻나무는 그 칠을 쓸 수 있기 때문에 잘리고 찍힌다.
사람들은 모두 유용(有用)의 용(用)만을 알고 무용(無用)의 용(用)을 알려 들지 않으니 한심한 일이다."
이것은 초나라의 광접여가 공자가 주장한 인의와 도덕을 비평한 말이다.
따라서 이런 나무들의 입장에서 보면 결코 쓸모가 있는 것이 못된다.
즉 그들이 자신을 망치는 것은 모두 다 유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장자(莊子)> "외물"편에는 이런 말이 있다.
"헤자가 장자에게 말하기를, '당신의 말은 쓸모가 없소.'라고 하자, 장자는 '쓸모가 없음을 알고 나서 비로소 쓸모 있는 것을 말할 수 있소.
저 땅은 턱없이 넓고 크지만 사람이 이용하여 걸을때 소용되는 곳이란 발이 닿는 지면뿐이오. 그렇다고 발이 닿은 부분만 재어 놓고 그 둘레를 파 내려가 황천에까지 이른다면 과연 사람들에게 그래도 쓸모가 있겠소?'라고 대답했다.
그러자 혜자는 '쓸모가 없소.'라고 했다.
이에 장자는 '그러니까 쓸모 없는 것이 실은 쓸모 있는 것임이 분명하지 않소!'라고 하였다."
유용의 용과 무용의 용 가운데 어떤 것이 더 중요한가 하는 문제에 대한 장자의 입장은 "산목"편의 다음 대화를 통해 알 수 있다.
"장자가 산 속을 가다가 잎과 가지가 무성한 거목을 보았다.
그런데 나무꾼이 그 곁에 머문 채 나무를 베려 하지 않으므로 그 까닭을 물었더니, '쓸모가 없습니다'라고 대답했다.
장자가 말했다.
'이 나무는 재목감이 안되므로 천수를 다할 수 있구나.'장자가 산을 나와 옛 친구 집에 머물렀다.
친구는 매우 반기며 심부름하는 아이에게 거위를 잡아 대접하라고 일렀다.
아이가 '한 마리는 잘 울고 또 한 마리는 울지 못합니다.
어느쪽을 잡을까요?'라고 하자, 주인은 '울지 못하는 쪽을 잡아라.'고 했다.
다음날 제자가 장자에게 물었다. '어제 산 속의 나무는 쓸모가 없어서 그 천수를 다할 수가 있었는데, 지금 이 집 주인의 거위는 쓸모가 없어서 죽었습니다.
선생님은 대체 어느 입장에 머물겠습니까?' 장자가 웃으면서 말했다.
'나는 쓸모 있음과 없음의 중간에 머물고 싶다.
그러나 쓸모 있음과 없음의 중간이란 도와 비슷하면서도 실은 참된 도가 아니므로 화를 아주 면하지는 못한다.
만약 이런 자연의 도에 의거하여 유유히 노닌다면 그렇지 않게 된다.
영예와 비방도 없고 용이 되었다가 뱀이 되듯이 신축자재이며 때의 움직임과 함께 변화하여 한 군데에 집착되지 않는다.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며 남과 화합됨을 자기의 도량으로 삼는다.
마음을 만물의 근원인 도에 노닐게 하여 만물을 뜻대로 부리되 그 만물에 사로잡히지 않으니 어찌 화를 입을 수 있겠느가!'"
우리들은 흔히 유용한 것만이 진정으로 쓸모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장자의눈에는 그렇게 보이지 않는다.
그는 보통 사람들이 쓸모 있다고 하는 것은 보잘것없는 것이고,
도리어 쓸모 없다고 하는 것이 크게 쓸모가 있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것이 바로 무용의 용인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여기에 숨겨져 있는 역설의 논리를 알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