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서 동영상

득어망전

완 재 2019. 1. 11. 09:37



得魚忘筌 득어망전

(얻을 득)

(고기 어)

(잊을 망)

(통발 전)

 

목적이 달성되면 목적을 위해 사용한 도구를 잊는다

 

"()은 물고기를 잡는 통발인데

물고기를 잡고 나면 통발은 잊어버리고 만다

()는 토끼를 잡는 덫인데

토끼를 잡고 나면 덫을 잊어버리고 만다.

은 마음에 있는 것을 전하는 것인데

뜻을 얻으면 말을 잊어버리고 만다.


내 어찌 그 말을 잊어버리는 사람을 얻어

그와 더불어 말할 것인가!"

 

장자'외물편'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여기서 망전(忘筌), 망제(忘蹄), 망언(忘言)은 

시비와 선악 같은 것을 초월한 절대의 경지를 말하고 있다.


상대를 추월하여 이 세상의 만물은 모두 하나라고 생각하는 절대적인 경지에 이르면 

옳고 그름도

선하고 악함도

아름다움과 추함도 없다는 것이 장자의 주장인 것이다.


윗 글에서 말하는 

'말을 잊어버리는 사람'이란 '말에 구애되지 않는 사람'을 뜻하며

'말에 구애되지 않는다'는 것은 

이러한 '상대적인 논리에 구애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득어망전의 공통성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자신에게 도움이 필요할 때는

도움을 주는 사람에게 평생 은혜를 잊지 않을 것처럼 하다가

목적을 달성하고 나면 망덕(忘德, 득어망전)하고 배은(背恩)하고

심지어 토끼 사냥이 끝난 후엔 개를 잡아먹는다는

즉 도와준 사람을 짓밟고 일어서는 '토사구팽'까지 일삼는 경우도 있는 것이다

'@ 행서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철보신  (0) 2019.01.24
만전지책  (0) 2019.01.17
무용지용  (0) 2019.01.04
누란지위  (0) 2018.12.28
다사제제  (0) 2018.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