佳人薄命 가인박명
佳(아름다울 가)
人(사람 인)
薄(엷을 박)
命(목숨 명)
〈여자의 용모가 빼어나면 운명이 기박하다〉
두 뺨은 우유 빛을 띠고 머리털은 옻칠을 한 듯
눈빛이 발로 들어와 구슬처럼 빛나네
원래 흰 비단으로 선녀의 옷을 만들고
붉은 연지가 타고난 바탕을 더럽힐 수 없네.
오 나라 말 소리는 귀엽고 부드러워 앳되기만 한데
한 없는 인간의 근심을 전혀 알 수 없네.
예로부터 예쁜 여인의 운명 기박하다 하지만
문은 닫은 채 봄이 가면 버들 꽃도 지겠지.
소식(蘇軾:1036∼1101)의 칠언율시 '박명가인(薄命佳人)'의 한 구절인 "자고가인다박명(自古佳人多薄命)"에서 유래한다.
自古佳人多命薄 閉門春盡楊花落
예로부터 아름다운 여인의 운명 기박함이 많으니 / 문을 닫은채 봄이 지나가면 버들꽃도 떨어지리.
본래 이 시에서는 佳人命薄이라 하였으나 후에는 佳人薄命으로 바뀌었고, 지금은 美人薄命(미인박명) 이라는 말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佳人薄命이란 미모가 뛰어난 여자는 그 운명이 기구하거나 길지 못함을 뜻하는 말이다.
소식(蘇軾)은 북송(北宋) 후기의 대 문장가이다.
그러나 관계(官界)에 들어가서는 일생의 거의 전부를 정적(政敵)과의 항쟁으로 보내어, 관리로서는 몹시 불행하였다.
극도의 역경 속에서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인품이나 문학은 매우 자유롭고 활달하였으며, 기량이 풍부했다. 유학자이면서도 때로는 노장적(老莊的)이기도 하고, 불가적(佛家的)이기도 하며, 호장(豪壯)하기도 하고, 때로는 섬세하기도 하며, 고답적이면서도 아랫사람들의 인정을 잘 분간하는 모습을 동시에 지닌 큰 영걸(英傑)이었다.
'가인박명'이라는 이 말은 소식(蘇軾)이 항주, 양주 등의 지방에 장관으로있을 때, 우연히 절에서 나이 삼십이 이미 넘었다는 예쁜 여승을 보고, 그녀의 아름다웠던 소녀 시절을 생각하며 한 미인의 기박한 운명을 시로서 옮긴데서 전하여졌다.
하지만, 이 시가 있기 전부터 동서고금(東西古今)을 통해 세상을 놀라게 한 무수한 미인들이, 많은 파란 끝에 결국은 비명에 가는등, 그 기박한 운명이 역사적 사례로 자리잡고 있었다.
클레오파트라가 독사에 물려 생각지도 않는 자살을 했고, 양귀비가 안녹산난의 피난길에서 군인들에게 밟혀 죽었으며, 마릴린 먼로가 36세에 불면증으로 인한 수면제 과다 복용으로 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