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서 동영상

수서양단

완 재 2016. 12. 29. 14:57




0, 首鼠兩端(수서양단)

머리 수,

쥐 서,

두 량,

바를 끝 실마리 단

 

구멍에서 머리만 내밀고 좌우를 살피는 쥐라는 뜻.

진퇴 거취를 정하지 못하고 망설이는 상태.

두 마음을 가지고 기회를 엿봄.

 

전한7대 황제인 무제(武帝:B.C. 14187) 때의 일이다.

 5대 문제(文帝)의 황후의 조카인 위기후(魏其侯) 두영(竇孀)6대 경제(景帝)의 황후의 동생인 무안후(武 安侯) 전분은 같은 외척이었지만 당시 연장자인 두영은 서산낙일(西山落日) 하는 고참 대장군이었고, 전분은 욱일 승천(旭日昇天)하는 신진 재상이었다


그런데 어느 날, 두영의 친구인 관부(灌夫) 장군이 고관대작(高官大爵)들이 모인 주연에서 전분에게 대드는 실수를 범했다.

 

사건의 발단은 관부가 두영을 무시한 한고관을 힐책(詰責)하는데 전분이 그를 두둔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관부가 한사코 사죄를 거부하자 이 일은 결국 조의(朝議)에 오르게 되었다

양쪽 주장을 다 들은 무제는 중신들에게 물었다

"경들이 판단컨대 어느 쪽이 잘못이 있는 것 같소?" 


처음에는 의견이 둘로 나뉘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두영의 추종자로 알려진 내사(內史:도읍을 다스리는 벼슬) 정당시(鄭當時)조차 우물쭈물 얼버무리는 애매한 태도를 취했다

그러자 어사대부(御史大夫:감찰 기관의 으뜸 벼슬) 한안국 (韓安國)도 명확한 대답을 피했다. "폐하, 양쪽 다 일리가 있사와 흑백을 가리기가 심히 어렵나이다." 


중신들의 불분명한 태도에 실망한 무제가 자리를 뜨자 조의는 거기서 끝났다

전분은 화가 나서 한안국을 책망했다.

 "그대는 어찌하여 '구멍에서 머리만 내밀고 좌우를 살피는 쥐[首鼠兩端]'처럼 망설였소

이 사건은 시비곡직(是非曲直)이 불을 보듯 훤한 일인데


그대와 더불어 대머리가 벗겨진 늙은이를 해치우려 했는데, 어찌하여 애매한 태도를 취했는가?"

 

與長孺共一禿翁 何爲首鼠兩端  여장유공일독옹 하위수서양단

(禿) : 모지라지다, 대머리, 민둥산.


[출전史記魏其武侯列傳위기무후렬전

 

   進 (약진)


 

'@ 행서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하아몽  (0) 2017.01.13
숙능생교  (0) 2017.01.06
여도지죄  (0) 2016.12.23
약팽소선  (0) 2016.12.16
항룡유회  (0)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