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서 동영상

부운

완 재 2023. 1. 15. 12:20

 

0, 浮雲

 

空手來空手去是人生(공수래공수거시인생)

生從何處來死向何處去(생종하처래사향하처거)

生也一片浮雲起 (생야일편부운기)

死也一片浮雲滅 (사야일편부운멸)

浮雲自體本無實 (부운자체본무실)

生也去來亦如然 (생야거래역여연)

獨有一物常獨露 (독유일물상독로)

澹然不隨於生死 (담연불수어생사)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는 것이 인생인 것을.

태어남은 어디서 오며 죽음은 어디로 가는가?

태어남은 한 조각 구름이 일어남이요

죽음은 한 조각 구름이 사라지는 것인데,

뜬구름 자체는 본래 실체가 없나니

태어남과 죽음도 모두 이와 같을진데

한 물건이 홀로 있어 항상 홀로 이슬처럼 드러나

담연히 생사를 따르지 않는구나.

 

이 시는 고려 공민왕 때 왕사(王師)를 지냈던 나옹선사(懶翁禪師. 법명 惠勤. 시호 禪覺. 13201376)의 누님이 동생인 나옹에게 염불을 배우고 나서 스스로 읊었다는 <부운(浮雲)>이라는 제목의 빼어난 선시(禪詩)로서,

태어남과 죽음을 한 조각 뜬구름(一片浮雲)의 기멸(起滅)에 비유했다.

 

참으로 명시다.

태어나는 것을 한탄하는 것도 아니고,

죽는 것을 슬퍼하지도 않고,

오고 가는 것을 있는 그대로 보고,

또한 그 가운데 생사 없는 도리를 보았다.

 

그렇다면 우리가 이 시를 보고 잘 되었다, 못 되었다 평가할 것이 아니라,

이 속에 들어 있는 문제 하나를 풀지 않으면 안 된다.

 

"한 물건이 홀로 있어 항상 홀로 이슬처럼 드러나 담연히 생사를 따르지 않는다."고 하였는데,

그 생사를 따르지 않는 담연한 한 물건이란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이를 아는 자는 뜬구름을 원망하지 않으리라.

만나고 헤어짐을 기약하지도 않으리라.

약이 없는 세계에 나아가려면 바로 그것을 보라.

 

 

'@ 초서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괴아심  (1) 2021.07.21
상선약수  (0) 2021.07.05
무상 (대원군의시)  (0) 2021.04.09
극기명 (여대임작)  (0) 2020.07.15
경천애인  (0) 2020.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