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서 동영상

단기지교

완 재 2018. 12. 6. 17:19



斷機之敎 단기지교

(끊을 단)

(틀 기)

(갈 지)

(가르침 교)

중도에 학업을 그만두는 것은 짜던 베의 날을 끊는 것과 같다

 

소년시절 공부를 하러 나가 있던 맹자가, 어느 날 갑자기 집으로 돌아왔다.

베를 짜고 있던 어머니가 물었다.

"네 공부는 어느 정도 나아갔느나?"

"아직은 변한 것이 없습니다.

그러자 어머니는 짜고 있던 베를 옆에 있는 칼로 끊어버렸다.

맹자가 섬칫하여 물었다.

"어머니, 그 베는 왜 끊어버리시나이까?"

그러자 어머니는 이렇게 대답했다.

"네가 학문을 그만둔다는 것은, 내가 짜던 베를 끊어버리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 후로 맹자가 두려워하여 아침, 저녁으로 쉬지 않고 배움에 힘써 천하의 대유(大儒)가 되었다.

 

맹자는 전국시대 중엽에 태어난 사람이다.

주자에게 재평가되어 아성으로 불려지게 된 맹자는, 부국강병에 광분하여 백성들을 혹사하는 권력주의적인 제후들에게 인간 본위의 덕치정치를 설득한 위대한 사상가이지만, 그의 어머니가 아니었다면 그와 같은 큰 나무는 얻을 수 없었을 것이다.

이 이야기는 그 유명한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와 아울러 한나라의 유향이 엮은 '열녀전(烈女傳)'에 전해지고 있다.

맹자는 가난한 선비 집안 출신으로, 아버지는 일찍 돌아가시고 어머니 손에 의해 자라났다.

스승을 찾아 공부를 하다가 어머니가 보고 싶어 중간에 돌아온 아들에게 어머니는 짜던 베를 잘라서 교훈을 말하면서 말을 다음과 같이 이어간다.

"군자란 모름지기 학문을 배워 이름을 날리고, 모르는 것은 물어서 앎을 넓혀야 하느니라. 그러므로 평소에 마음과 몸을 편안히 하고, 세상에 나가서도 위험을 저지르지 않는다. 지금 너는 학문을 그만 두었다. 생계를 위하여 베를 짜다가 중간에 그만 두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느냐?

여자가 그 생계의 방편인 베짜기를 그만두고 남자가 덕을 닦는 것에 떨어지면, 도둑이 되지 않는다면 심부름꾼이 될 뿐이다

'@ 행서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사제제  (0) 2018.12.21
내우외환  (0) 2018.12.13
득롱망촉  (0) 2018.11.30
남귤북지  (0) 2018.11.22
기화가거  (0) 2018.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