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서 동영상

기소불욕 물시어인

완 재 2013. 9. 6. 00:27





0, 기소불욕물시어인(己所不欲勿施於人)  

자기가 하기 싫은 일을 남에게도 하게 해서는 안 된다


(ji): 자기 , 자신,

(suo): 바 , 곳, 장소, 사무보는 곳, 기관, 가량, 남짓, ~하는 바,

(yu): 바랄 , 하고자 할 , 희망하다, 필요하다, 바야흐로~하려고 하다,

           욕망, 욕구 

(wu): 말 ~하지 마시오, ~하지 않다, 아니다

(shi): 베풀 실시하다, 시행하다, 살포하다, (은혜를) 베풀다, 바르다, 칠하다

(ren): 사람 , 인간, 인류, 다른 사람, 남, 타인,특정한 일에 종사하는 사람, 어른,            성인,사람의 품성이나 됨됨이, 일손, 인재, 의식, 정신, 마음

                 

 

(仲弓問仁 子曰 出門如見大賓 使民如承大祭 己所不欲 勿施於人 在邦無怨 在家無怨)

 중궁문인 자왈 출문여견대빈 사민여승대제 기소불욕 물시어인 재방무원 재가무원


중궁 문인한대 자왈 출문여견대빈하며 사민여승대제하고 기소불욕 물시어인이니 

재방무원하며 재가무원이니라.   

 -논어, 안연 제2장-... 


중궁이 인(仁)에 대해 물었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문 밖에 나가서는 나라의 큰 손님을 뵙는 것 같이 하며, 

백성을 부릴 때에는 나라의 큰 제사를 받들어 모시는 것처럼 하라. 

자기가 원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베풀지 않도록 해라

그러면 나라 안에서도 원망이 없을 것이며, 집안에서도 원망이 없을 것이다.


”자신이 하기 싫은 일은 다른 사람도 마땅히 하기 싫어할 것이기 때문에 내가 원하지 않는 일을 남에게 강요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내가 상대편에게 굽실거리고 싶지 않으면 상대편도 나에게 굽실거리는 것을 바라지 말아야 하듯이,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며 용서하는 마음으로 다른 사람의 인격을 존중해야 한다는 가르침이다.




'@ 행서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구지환  (0) 2013.09.20
무신불립  (0) 2013.09.06
궁즉변 변즉통 통즉구  (0) 2013.08.30
군자삼락  (0) 2013.08.24
오비이락  (1) 2013.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