居必擇隣거필택린
居(있을 거)
必(반드시 필)
擇(가릴 택)
隣(이웃 린)
거처(居處)를 정(定)함에 반드시(必) 이웃(隣)을 가리라(擇)
出典 : 晏子春秋(안자춘추)
중국(中國)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송계아(宋季雅)라는 고위관리(高位官吏)가 정년퇴직(停年退職)을 대비(對備)해 자신(自身)이 살 집(우거=寓居)을 보러 다녔는데, 지인(知人)들이 추천(推薦)해준 집은 마다하고 집값이 현시세(現時勢)로 백만금(百萬金) 밖에 안 되는 집을 천백만금(千百萬金)을 주고 사서 이사(移徙)를 했다.
이 이야기를 들은 이웃집 여승진(呂僧珍)이라는 사람이 송계아(宋季雅)에게 그 이유(理由)를 물었다. 송계아(宋季雅)의 대답(對答)은 간단(簡單)했다. 백만금(百萬金)은 집값으로 지불(支拂)을 했고(백만매택=百萬買宅), 천만금(千萬金)은 여승진(呂僧珍)과 이웃이 되기 위(爲)한 값이라고 했다(천만매린=千萬買隣). 이웃을 선택(選擇)해서 살 집을 정(定)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저는 평소(平素 ) 여선생님(呂先生任)의 훌륭한 인품(人品)을 존경(尊敬)하고 흠모(欽慕)하여 죽기 전(前)에 선생님 가까이에서 살아보는 것이 소원(所願)이었습니다. 그러니 집값으로 백만금(百萬金), 선생님의 이웃(隣)이 되는 댓가(代價)로 천만금(千萬金)을 썼지만 전(全)혀 아깝지가 않습니다.
인향만리(人香萬里)라고 했던가 사람의 인품(人品), 한사람의 향기(香氣)는 일 개인(個人)의 집값은 물론(勿論) 그 사람이 사는 동네의 땅값까지 올리니, 가(可)히 사는 곳을 고르고 선택(選擇)할 때는 반드시 이웃을 살펴보고 결정(決定)하라는 거필택린(居必擇隣)이란 말에 유념(留念) 해 볼만한 이야기다.
거필택린(居必擇隣) = 거처(居處)는 반드시(必) 이웃(隣)을 가리며(擇),
취필유덕(就必有德) = 일을 성취(成就) 시키는데는 반드시 덕(德)이 있는 곳이어야 하며,
교필택우(交必擇友) = 사귈(交) 때는 반드시 벗(友)을 가려야(擇) 한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