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탁동시
0, 啐啄同時(졸탁동시)
啐(맛볼 쵀, 빠는 소리 줄, 떠들썩할 잘)--졸은 발음상의 졸자
啄(쫄 탁) 同(한가지 동) 時(때 시)
"안과 밖에서 동시에 노력하다"
'졸탁동시(啐,啄,同,時)는 줄탁동시 또는 쵀탁동시라고 하기도 하지만 이 말의 어원은 임제종(臨濟宗)의 공안집(公案集:화두집)이자 선종(禪宗)의 대표적인 불서(佛書)인 송(宋)나라 때의 《벽암록(碧巖錄)》에 공안으로 등장하면서 불가(佛家)의 중요한 공안이 되었다.
벽암(碧巖) 16측 공안에
“승(僧)이 경청(鏡淸)에게 묻기를
학인은 ‘졸’하고, 스승은 ‘탁’한다”
라는 말에서 기인한 것이다. 선(禪)에서는 깨달음의 방식으로 ‘줄탁동시(啐啄同時)’ 란 콘셉트를 사용하고 있다.
병아리가 알에서 깨어날 때 밖에서는 어미닭이 껍질을 쪼고 안에서는 병아리가 껍질을 깨려고 한다.
어느 한쪽의 힘만으로는 결코 알을 깰 수가 없다는 것이요.
안과 밖이 시기를 맞춰 동시에 작용하지 않으면 또한 알을 깰 수가 없기 때문이다.
교육의 원리로 하면
학생과 선생이 선후 없이 타이밍을 맞춰서 가르치고 배우는 호흡이 일치해야 된다는 원리이다. 그 의미는 달걀이 어미 닭의 따뜻한 품속에서 부화를 시작하고서 21일째, 껍질 속의 병아리는 안쪽에서 껍질을 쫀다.
이것을 ‘졸’이라 하고,
이에 호응해서 어미 닭이 밖에서 껍질을 쪼는 것을 ‘탁’이라 한다.
새끼와 어미가 동시에 알을 쪼지만, 그렇다고 어미가 새끼를 나오게 하는 것은 아니다.
어미는 다만 알을 깨고 나오는 데 작은 도움만 줄 뿐,
결국 알을 깨고 나오는 것은 새끼 자신이다.
만약 어미 닭이 껍질을 깨어주게 되면 병아리는 건강을 잃고 얼마 후 죽게 된다.
이는 만약 부모로서 자식을 자신의 가치관 속으로 밀어 넣게 되면 자식의 마음(정신력)은 곧 죽게 될 것이다.
졸탁동시가 주는 메시지는 선(불가)에서 말하는 자기라는 껍질(我相)을 깨고 나와야 비로소 온전한 자유를 누릴 수 있다는 의미도 있지만,
세상을 살아간다는 것은 나 혼자만이 아닌 타인과의 ‘관계’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의미로 볼 수도 있는 것이요.
‘졸’과 ‘탁’이 조화롭게 잘 이루어진다면, 화목한 가정, 분규 없는 기업문화, 사제 간에 하나가 되는 바람직한 풍토, 이념갈등이 없는 평화로운 사회가 제대로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