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적석천(水滴石穿)
水滴石穿(수적석천)
(물 수 / 물방울 적 / 뚫을 천 / 돌 석)
물방울이 바위를 뚫는다
[동의]
점적천석點積穿石 / 적토성산積土成山 / 적소성대積小成大 / 수적성연水積成淵 / 진적위산塵積爲山 (티끌모아 태산)
[유사] 마부위침磨斧爲針 / 면벽구년面壁九年 / 우공이산愚公移山
[속담] 낙숫물이 댓돌 뚫는다
[출전]《채근담 (菜根譚)》/《학림옥로(鶴林玉露)》
[내용1]
繩鋸木斷,水滴石穿.學道者,須加力索.
승거목단,수적석천.학도자,수가력색.
水到渠成,瓜熟蒂落.得道者,一任天機.
수도거성,과숙체락.득도자,일임천기.
새끼줄로 톱질해도 나무가 잘라지고
물방울이 떨어져 돌을 뚫는다.
도를 배우는 사람은 모름지기 힘써 구하라.
물이 모이면 개천을 이루고
참외는 익으면 꼭지가 떨어진다.
도를 얻으려는 사람은
모든 것을 자연에 맡겨라.
- 명나라 홍자성(洪自誠)의《채근담 (菜根譚)》
[내용2] 북송 때 장괴애라는사또가 있었다.
어느날 그는 관아를 돌아보다가 창고에서 황급히 튀어나오는 한 구실아치를 발견했다.
당장 잡아서 조사해보니 상투속에서 한푼짜리 엽전 한잎이 나왔다.
엄히 추궁하자 창고에서 훔친 것이라고 하였다. 즉시 형리에게 명하여 곤장을 치라고 했다.
그러자 구실아치는 장괴애를 바라보면서 이렇게 말했다.
"이건 너무 하지 않습니까? 엽전 한푼이 뭐 그리 크다고..." 이 말을 듣자 장괴애는 더욱 노하여 "네 이놈 티끌모아 태산이라는 말도 못들었느냐?
한푼이라도 천날이면 천푼이요, 물방울도 끊임없이 떨어지면 돌에 구멍울 뚫는다"하고는 칼을 빼어 목을 치고 말았다.
- 송나라 나대경(羅大經)의《학림옥로(鶴林玉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