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경지수
2018년 1월 5일 小寒
0 明鏡止水(명경지수)
明(밝을 명)
鏡(거울 경)
止(발지, 그칠지)
水(물 수)
맑고 깨끗하여 티 하나 없는 거울처럼 정지되어 고요히 담겨 있는 물,
또는 고요한 심경을 이름.
맑은 거울과 조용한 물. 곧 '맑고 고요한 심경'을 이름.
장자(莊子) '덕충부편(德充符篇)'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실려 있다.
노(魯)나라에 왕태라는 학덕이 높은 사람(올자 兀者)이 있었는데, 그는 유교의 비조(鼻祖)인 공자와 맞먹을 만큼 많은 제자들은 가르치고 있었다.
이것을 본 공자(孔子)의 제자 상계(相季)가 특출한 면도 없는 왕태에게 사람이 많이 모여드는 이유를 불만스럽다는 듯이 물었다.
"선생님, 저 올자(兀者)는 어째서 많은 사람들로부터 흠모를 받고 있는 것입니까?"
공자가 대답했다.
이에 공자(孔子)는
"사람은 흐르는 물로 거울을 삼는 일이 없이 그쳐 있는 물로 거울을 삼는다. 왕태의 마음은 그쳐 있는 물처럼 조용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그를 거울삼아 모여들고 있는 것이다."
또 같은 '덕충부편(德充符篇)'에는 이런 글도 실려 있다.
"이런 말을 들었는가?
'거울이 밝으면 티끌과 먼지가 앉지 않으며, 티끌과 먼지가 앉으면 밝지 못하다. 그와 마찬가지로 인간도 오래도록 현자(賢者)와 함께 있으면 마음이 맑아져 허물이 없어진다.'
이제 자네가 큰 것을 취하는 것은 선생님이다. 그런데도 오히려 말을 함이 이와 같으니, 또한 허물이 아니겠는가?"
聞之曰 鑑明則塵垢不止 止則不明也 久與賢者處 則無過 今子之所取大者先生也 而猶出言 若是 不亦過乎.
[주] 올자 : 형벌(刑罰)에 의해 발뒤꿈치를 잘린 불구자.
明 밝을 명. 鏡 거울 경. 止 그칠 지. 水 물 수.
[유] 雲心月性(운심월선) : 구름 같은 마음에 달 같은 성품이란 뜻으로 욕심없는 말과 깨끗한 마음씨를 일컫는다.
平易淡白(평이담백) : 깨끗하며 욕심이 없는 마음.
[출전] '莊子' 德充符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