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귤북지
南橘北枳 남귤북지
南(남녘 남)
橘(귤나무 귤)
北(북녘 북)
枳(탱자나무 지)
기후와 풍토가 다르면 모양과 성질이 달라진다
강 남쪽에 심는 귤을 강 북쪽에 옮기면 탱자가 된다
「안자춘추(晏子春秋)」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춘추시대 말기 제나라에 안영이란 유명한 재상이 있었다.
어느 해, 초의 영왕이 그를 초청했다. 그의 소문에 대한 호기심과 코를 납작하게 만들어 보겠다는 심술이 작용한 것이다.
영왕은 인사말을 끝내기가 바쁘게 이렇게 입을 열었다.
"제나라에는 사람이 없소?"
"어찌 그런 말씀을 하십니까? 길 가는 사람은 어깨를 마주 비비고 발꿈치를 서로 밟고 지나가야 하는 형편입니다."
"그런데 하필 경과 같은 사람을 사신으로 보낸 이유가 뭐요?"
안영의 키가 작은 것을 비웃는 말이었다. 초나라 왕은 당시 제나라를 우습게 보았기 때문에 이런 심한 농담을 함부로 대했다.
안영은 서슴지 않고 태연히 대답했다.
"그 까닭은 이러하옵니다. 저의 나라에선 사신을 보낼 때 상대방 나라에 맞게 사람을 골라서 보내는 관계가 있습니다. 즉, 작은 나라에는 작은 사람을 보내고 큰 나라에는 큰 사람을 보내는데, 신은 그 중에서도 가장 작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초나라로 오게 된 것입니다."
은근히 상대방을 놀려주려다가 보기 좋게 반격을 당하게 된 초왕은 자기도 모르게 얼굴이 화끈 달아올랐다.
첫 번째 계획이 실패로 돌아간 다음 두 번째 계획이 진행되었는데, 왕이 바라보고 있는 뜰 아래로 멀리 포졸들이 죄인을 묶어 앞세우고 지나갔다.
왕은 포졸을 불러 세웠다.
"그 죄인은 어느 나라 사람이냐?"
"제나라 사람입니다."
"죄명이 무엇이냐?"
"절도죄를 지었습니다."
초왕은 안영을 바라보며 말했다.
"제나라 사람은 원래 도둑질을 잘하오?"
계획 치곤 참으로 유치하고 무모한 계획이었다. 하지만 당하는 안영에게는 이 이상 더 큰 모욕이 있을 수 없었다. 그러나 안영은 자기와는 상관없는 일이란 듯 초연한 태도로 이렇게 말했다.
"강 남쪽에 귤이 있는데 그것을 강 북쪽으로 옮겨 심으면 탱자가 되고 마는 것은 토질 때문이옵니다. 제나라 사람이 제나라에 있을 때는 원래 도둑질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자랐는데, 그가 초나라로 와서 도둑질을 한 것을 보면 역시 초나라의 풍토 때문인줄로 아옵니다."
그 기지와 태연함에 초왕은 안영에게 정중히 사과를 했다.
"애당초 선생을 욕보일 생각이었는데 결과는 과인이 욕을 당하게 되었구려."
하고 크게 잔치를 벌여 안영을 환대하는 한편 다시는 제나라를 넘볼 생각을 못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