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안제미
擧案齊眉 거안제미
擧 들 거,
案 밥상 안,
齊 가지런할 제,
眉 눈썹 미
아내가 남편을 지극히 공경하다
"매일 돌아오면 아내가 밥상을 차리고 기다렸다가 양홍의 앞으로 나오는데 눈을 아래로 깔고 밥상을 눈썹 높이로 들어 바쳤다."
「후한서」의 '일민전(逸民傳)'에 보면 집은 가난하지만 절개가 곧은 양홍(梁鴻)이란 학자가 있었다고 한다. 뜻이 있어 장가를 늦추고 있는데, 같은 현에 몸이 뚱뚱하고 얼굴이 못생긴 맹광(孟光)이라는 처녀가 서른이 넘은 처지에서, '양홍 같은 훌륭한 분이 아니면 시집을 가지 않겠다'고 한다는 소문을들은 양홍은 이 처녀에게 청혼을 하여 결혼을 했다.
결혼 후 며칠이 지나도록 색시와 잠자리를 같이 하지 않자 색시가 궁금하여 그 이유를 물었다.
이에 양홍이 대답하기를,
"내가 원했던 부인은 비단 옷입고 진한 화장을 한 여자가 아니라, 누더기 옷을 입고 깊은 산 속에 들어가서라도 살 수 있는 그런 여자였소."
라고 하자 색시는, "이제 당신의 마음을 알았으니 당신의 뜻에 따르겠습니다."
라고 대답했다.
그 후로 아내가 화장도 하지 않고 산골 아낙네처럼 수수한 차림으로 생활을 하자, 양홍은 그녀와 둘이 산 속으로 들어가 농사를 짓고 베를 짜면서 생활했다.
양홍은 농사짓는 틈틈이 시를 지어 친구들에게 보냈는데, 그 가운데 왕실을 비방하는 내용이 들어 있었다. 마침내 그것이 발각되어 나라에서 잡으려 하자 양홍은 오(吳)나라로 건너가 고백통(皐白通)이라는 명문가의 방앗간지기가 되어 지냈다.
양홍이 일을 마치고 돌아오면 그 아내는 늘 밥상을 차리고 기다렸다가 눈을 아래로 깔고 밥상을 눈썹 위까지 들어올려(擧案齊眉) 남편에게 공손하게 바쳤다고 한다.
이를 본 고백통은 그 내외를 예사롭지 않게 여기고 여러 면에서 도와주었고, 덕분에 양홍은 수십 편의 책을 저술할 수가 있었다.
양홍의 훌륭한 저술은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에서 이룩된 업적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