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서 동영상

吾唯知足 오유지족

완 재 2025. 5. 21. 11:05

 

”吾唯知足“   “忍“  ”通“

 

# 草書(초서해설)

 

吾唯知足“ 오유지족

나는 오직 만족 함을 안다.

事能知足心常樂 사능지족심상락

人到無求品自高 인도무구품자고

자기 일에 만족함을 알면 마음이 항상 즐겁고

구함(욕심)이 없는데 이르르면 품위가 스스로 높아진다.]

 

吾나오,  唯오직유,  知알지,  足족할족  

"口 (입구)를 중심으로 (吾唯知足 오유지족) 4자를 읽어 보세요"

 

“인

一勤天下無難事 일근천하무난사

百忍堂中有泰和 백인당중유태화

 

"한번 부지런하면 천하에 어려운 일이 없고,

백번 참으면 집안에 큰 평화가 있다

 

“통

窮則變 變則通 通則久 궁즉변 변즉통 통즉구

궁하면 변하라, 변하면 통하고, 통하면 오래 간다

是以自天祐之吉无不利

시이자천우지길무불이

이 때문에 하늘이 도와 길하고 이롭지 않음이 없으리라.“

 

"궁즉통" (窮則通)은 "곤궁하면 통한다"라는 뜻으로,
궁지에 몰려 어려움을 겪어도 결국은 해결의 길이 열린다는 의미 
"궁즉통"은 궁하면 변하고, 변하면 통하고, 통하면 오래 간다는 것을 강조하는데. 
여기서
"궁"은 단순히 어려움을 겪는 것을 넘어 최선을 다하고,
간절한 마음으로 상황을 극복하려는 자세를 의미한다
궁하면 통하는 것은 결국 상황 변화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극복하려는 노력이 결국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강조한다. 

 

주역에서는

달이 차면 이지러지고, 해가 중천에 이르면 기울게 되는데

사물의 이치야 말해 무엇하겠는가?

그것이 다함에도 변하지 않으면 소멸할 것이요,

막혔다고 여겨지던 것이 변화하여

그것이 서로 통하게 하면 영원할 것이다.’